운영체제 #1 #512
yoonminsang
started this conversation in
Today I Learned
운영체제 #1
#512
Replies: 0 comment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추석연휴에 잠깐 미뤄뒀던 운영체제 공부를 이어서 해보려고 한다.
2. 디스패처
3. 스케줄링의 성능 평가
시스템 관점의 지표: CPU 이용률, 처리량
사용자 관점의 지표: 소요시간, 대기시간, 응답시간
CPU 이용률(CPU utilization): 전체 시간 중에서 CPU가 일을 한 시간의 비율.
CPU는 고비용의 자원이므로 최대한 휴먼(idle) 상태에 머무르지 않게 해야한다.
처리량(throughput): 주어진 시간 동안 준비 큐에서 기다리고 있는 프로세스 중 몇개를 끝마쳤는지(CPU 버스트를 완료한 프로세스의 개수)
소요시간(turnaround time): 프로세스가 CPU를 요청한 시점부터 자신이 원하는 만큼 CPU를 다 쓰고 CPU 버스트가 끝날 때까지 걸린시간, 즉 준비큐에서 기다린 시간과 실제로 CPU를 사용한 시간의 합
대기시간(waiting time): CPU 버스트 기간 중 프로세스가 준비 큐에서 CPU를 얻기 위해 기다린 시간의 합
응답시간(response time): 프로세스가 준비 큐에 들어온 후 첫번재 CPU를 획득하기까지 기다린 시간
타이머 인터럽트가 빈번히 발생할수록 응답시간이 향상된다. 대화형 시스템에 적합함.
예시
중국집에 주방장과 손님이 있다.
이용률과 처리량은 중국집 입자에서 척도이고 소요시간, 대기시간, 응답시간은 손님 입장에서의 척도다.
이용률: 전체 시간 중 중방장이 일한 시간의 비율
처리량: 주방장이 주어진 시간 동안 몇 명의 손님에게 요리를 만들어주었는지
소요시간: 손님이 중국집에 들어와서 주문한 음식을 다 먹고 나가기까지 소요된 총 시간
대기시간: 음식을 먹은 시간을 제외한 순수하게 기다린 시간. 음식이 조금씩 여러 번에 걸쳐 나왔다면 음식을 먹은 시간을 제외하고 각각의 음식이 나오기까지 기다린 시간을 합한 시간.
응답시간: 최초의 음식이 나오기까지 기다린 시간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